본문 바로가기

테크놀로지와 데이터

[Tableau] 대시보드 만들기 - 컨테이너 활용하기

태블로는 Looker나 Power BI와 같은 다른 시각화 툴과는 다르게 차트를 만드는 단계(워크시트)와 대시보드를 만드는 단계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워크시트로 원하는 차트들을 만들어 두고, 대시보드에서 합쳐서 하나의 레포트를 구성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대시보드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가로 컨테이너와 세로 컨테이너

대시보드는 시트와 개체로 구성됩니다. 아래 이미지 처럼 대시보드 작업 화면 왼쪽에 생성한 시트의 리스트가 나오고, 그 아래 사용 가능한 개체들이 나옵니다.

 

개체 중 '가로 컨테이너'와 '새로 컨테이너'는 다른 개체를 담을 수 있는 조금 특수한 개체입니다.

가로 컨테이너 안에는 시트나 개체를 가로로 나열해 넣을 수 있고, 세로 컨테이너는 세로로 나열해 넣을 수 있습니다.

가로 컨테이너에 시트 3개를 가로로 넣은 모습

 

 

세로 컨테이너에 시트 3개를 세로로 넣은 모습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이유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대시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균등 분할이 가능하다.

컨테이너에는 '콘텐츠 균등 분할' 기능이 있어서, 개체를 균등한 크기로 맞출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의 '콘텐츠 균등 분할'을 활성화 해놓으면, 컨테이너의 크기를 늘였다 줄였다 하더라도 컨테이너 안에 있는 개체들은 서로 균등한 크기로 자동 조정됩니다.

 

크기 세부 조절이 가능하다.

컨테이너에 포함된 개체들은 너비나 높이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주의해야할 사항은 '콘텐츠 균등 분할'이 활성화 되어 있으면 세부 조절이 불가능하니 세부조정 전에는 꼭 균등 분할을 해제해주어야 합니다.

 

가로 컨테이너에 포함된 개체들은 너비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세로 컨테이너에 포함된 개체들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됩니다. 

세로 컨테이너에 포함된 시트를 높이 편집 하기

 

컨테이너에 포함되지 않은 개체는 높이 편집이나, 너비 편집이 없습니다. 마우스 드래그를 통해서만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세부적인 조절이 어렵습니다.

컨테이너에 포함되지 않은 개체는 크기 편집 메뉴가 없다

 

배치와 이동이 용이하다.

컨테이너에 포함되어 있으면 배치나 이동을 할 때 컨테이너 채로 옮기면 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이 올라가게 됩니다. 파워포인트에서 '그룹' 기능을 사용해보신 분들이라면 조금 더 와닿으실 것 같습니다.

 

컨테이너를 잘 사용하는 방법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깔끔하고 정돈된 배치를 보여주기 쉽습니다. 몇 개의 예시들을 통해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대시보드를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지 살펴보겠습니다.

 

만약 다음과 같은 대시보드를 만든다면 컨테이너를 어느 부분에 사용하게 될까요?

출처 : Tableau Public (https://public.tableau.com/app/profile/kevin.wee/viz/VisualizingDistributionsBoxPlotsBetterAlternatives/Dashboard)

 

 

시트 12개가 4행 3열로 나열된 부분에 컨테이너를 사용할 것 같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레이아웃 구성이 나올 것 같습니다. 세로 컨테이너 안에 4개의 가로 컨테이너를 넣고, 각 가로 컨테이너에 시트를 3개씩 배열할 것 같습니다. 그런 다음 각 컨테이너들에 모두 '콘텐츠 균등 분할'을 적용시키면 되겠습니다.

 

다음은 두 번째 예시입니다. 

출처 : Tableau Public (https://public.tableau.com/app/profile/ethan.lang/viz/TableauUserGroup-ViewRecordingsfromPastEvents/TUGRecordingsRepository)

 

만약 위와 같은 대시보드를 만든다면 컨테이너를 어떻게 사용하여야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까요?

첫 번째 예시와 마찬가지로 12개의 달력모양 시트는 균등 분할이 가능하도록 컨테이너에 넣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른편에 웹 페이지와 텍스트 개체를 세로 컨테이너에 넣어 작업할 것 같습니다. 

대시보드 제목 밑에 큰 가로 컨테이너를 넣고, 그 안에 세로 컨테이너가 두개 들어간 형태가 됩니다. 왼쪽 세로 컨테이너 안에는 가로 컨테이너가 3개 들어간 모습입니다. 

 

마지막 예시입니다. 

출처 : Tableau Public ( https://public.tableau.com/app/profile/.83057946/viz/DigitalAdsPerformanceDashboard/PerformanceSummary)

위 예시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컨테이너를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답은 없지만 컨테이너를 사용한다면 저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것 같습니다.

큰 세로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그 안에 가로 컨테이너를 두개 넣었습니다. 위에 배치한 가로 컨테이너에는 막대차트 시트를 5개 넣어 균등 분할하고, 아래에 있는 가로 컨테이너에는 시트하나와 세로 컨테이너 하나를 배치하였습니다. 

 

컨테이너를 사용하게 되면 조금 더 정돈된 느낌의 대시보드를 제작할 수 있게 됩니다.

 

 

중요한 TIP! 컨테이너 사용할 때 빈 페이지 활용하기

컨테이너는 다른 개체를 담을 수 있는 특수한 개체이기 때문에 배치에 주의를 기울어야 합니다. 특히 컨테이너 안에 컨테이너를 여러개 넣는 경우 원하지 않는 위치에 컨테이너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아래 이미지는 세로 컨테이너에 가로 컨테이너를 여러개 넣을 때 생기는 경우를 표현한 것 입니다.

1번 화살표처럼 가로 컨테이너 안에 다시 가로 컨테이너를 넣는 것은 아주 쉽습니다. 하지만 2번 화살표처럼 가로 컨테이너 안에 가로 컨테이너를 넣는 것은 쉽게 조작이 되지 않습니다.

1번은 쉽지만, 2번은 어렵다

 

이럴 때는 빈 페이지를 활용하면 쉽게 배치가 가능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로 컨테이너를 넣은 후에, 빈 페이지를 세로 컨테이너 안에 넣어줍니다.

세로 컨테이너 안에 빈 페이지가 들어간 모습

 

그 다음에 가로 컨테이너를 넣어주면 되는데, 컨테이너를 드래그 해서 넣기 전에 표시되는 회색 영역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첫 번째 가로 컨테이너는 세로 컨테이너 안에 얇은 회색 영역이 표현 되었을 때 넣어줍니다.

가로 컨테이너를 드래그했을 때 얇은 회색 영역이 생기면 놓아준다.

 

두 번째 가로 컨테이너 부터는 빈 페이지와 가로 컨테이너 사이에 마우스를 드래그해서 위치 시키고 점선과 얇은 회색 영역이 보일 때 놓아주시면 됩니다.

 

가로 컨테이너를 원하는 만큼 넣었다면, 빈 페이지를 제거하면 됩니다. 

 

컨테이너를 비롯한 개체를 넣을 때는 올바른 위치에 들어갔는지 레이아웃 탭에서 항목 계층을 수시로 확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세로 컨테이너 아래에 가로 컨테이너가 3개 들어가 있는 모습

 

 

마무리

오늘은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대시보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워크시트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 만든 시트들을 어떻게 배치하고 정돈하여 보여주는지에 따라 대시보드의 완성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태블로에 있는 컨테이너를 활용하면 효율적인 작업으로 정리된 대시보드를 완성할 수 있으니, 여러 방법으로 응용하고 사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